뉴스밸런스는 우리 사회에서 첨예한 갈등을 빚고 있거나 화제가 되는 이슈 및 정책을 대상으로 찬성론과 반대론이 한판 승부를 벌이는 논쟁터입니다. 양측 주장과 의견을 최대한 공정하고 충실히 전달함으로써 독자들의 정확한 판단과 이해를 도울 수 있을 것입니다. 이번 주제는 “창원시 vs 동물권단체…유기동물보호소 ‘무분별한 안락사’ 공방”입니다. 경남 창원시가 지역 내 3곳의 유기동물보호소를 통합하면서 공간 부족 등을 이유로 빚어진 유기견 안락사 처리와 관련하여 동물권단쳉와 시의 주장과 입장을 취재했습니다. <편집자 주> |
![]() |
▲창원시 농업기술센터 최명한 소장이 동물보호센터의 인도적 차리에 대해 입장을 밝히고 있다. /창원시 제공 |
16일 창원시에 따르면 시는 지난 14일 “지난달에만 창원지역 유기동물보호소에서 생활하던 유기견 89마리가 집단 안락사 당했다”는 동물권단체 동물보호연대의 기자회견 직후 해명자료를 통해 유기동물 보호와 처리를 둘러싼 각종 논란에 대해 조목조목 설명했다.
시는 “인도적 처리(안락사)는 동물보호법 제46조와 동물보호센터 운영지침에 근거한 적법한 절차로 진행되고 있으며 달느 지방자치단체에서도 보호 기간이 1~2개월 이상 경과하면 별도의 고지없이 처리하는 것이 관례”라고 밝혔다.
최영한 창원시 농업기수렌터장은 “안락사는 입소동물의 안전한 보호와 관리를 최우선으로 하기 위해 부득이 하게 인도적 처리를 하는 게 낫겠다 싶어 줄인 상태로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시는 유기동물 보호에 있어 이미 전국 최상의 수준을 운영을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시는 해명자료에서 “창원시 동물보호센터는 전국에서 가장 많은 유기동물을 보호(651두)하고 있으며 현재 1년 이상 보호개체가 52%를 차지하고 있다”면서 “2023년 전국 동물보호센터의 평균 보호 기간이 27.8일인 반면, 창원의 보호기간은 평균 612일로 전국 평균의 22배에 달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많은 개체수 장기보호로 많은 예산 투입 및 신규 유기견을 수용할 공간 부족과 보호 동물들의 복지가 심각하게 저해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시는 유기동물 보호에 많은 행정력과 재원을 투입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한 뒤 유기동물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개선책도 제시했다.
시는 “유기동물 감소를 위해 2025년부터 농촌지역 실외사육견 중성화 사업 500마리 시행 및 입양 시간 확대 운영, 모바일 입양 플랫폼 포인핸드와 협약하여 입양을 전국적으로 확산시켜 인도적 처리보다는 입양을 중점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최대 수용두수 500두로 정한 이유에 대해서는 “단순히 수의 제한이 아닌, 동물 복지, 시설 안전성, 관리 효율성, 동물들의 건강과 행복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결정”이라고 설명했다.
시 관계자는 “유기동물 보호소 운영은 동물복지와 법적 절차를 모두 충족해야 하는 어려운 과제”라며 “창원시는 보호소 이전과 고날녀한 봉사자들의 우려를 충분히 이해하고 있지만 모든 절차는 법적 기준에 따라 운영되고 있다”고 거듭 강조햇다.
이어 “유기동물 문제 해결을 위해 시민과 단체의 협력이 절시랗며 장기적이고 실질적인 방안을 통해 지역 내 유기동물 문제가 개선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 뉴스밸런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