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픽사베이 |
10일 국민의힘 김상훈 의원이 금융감독원에서 제출받은 5대은행과 6대 증권사 취급액 현황에 따르면, 지난 1년여간 담보·신용대출과 주식 융자 신규취급액은 476조938억원에 달했다.
우선 주식을 사들이는 빚이 크게 늘었다. 증권사에서 현금이나 주식을 빌려 매매하는 신용거래 취급액은 2022년 하반기 102조5914억원, 2023년 7월간 151조2781억원으로 1년여간 253조8695억원에 달했다. 주식 대금 결제일까지 시차를 활용해 외상으로 투자하는 미수거래 또한 39조1561억원에 이르렀다.
집을 사는 데도 많은 대출이 이루어졌다. 2022년 하반기에 60조7759억원과 2023년 7월까지 101조694억원, 1년새 161조8453억원 신규 주택담보대출이 불어났다. 여기에 21조2230억원 신용대출 또한 더해졌다. 작년 하반기부터 올해까지 ‘영끌’에 183여조원이 동원된 셈이다.
청년층인 20‧30세대도 적지 않은 빚을 냈다. 2022년 하반기 53조6066억원, 2023년 상반기에 80조2027억원으로 1년간 청년이 낸 빚은 133조8093억원에 달했다. 한해 동안 75조4604억원 주택담보대출을 받았고, 8조4888억원 신용대출을 더했다. 주식 신용거래 46조890억원, 미수거래 3조7709억원으로 빚투를 위한 부채 또한 적지 않았다.
신규대출액이 늘면서 연체 또한 함께 증가했다. 2022년 하반기 현재 1조1764억원이었던 연체액은 2023년 7월 현재 1조7474억원으로 5710억원 늘어났다. 주택담보대출에서 4069억원으로 가장 크게 연체가 발생했고, 주식 신용융자에서 779억원이 증가했다. 20‧30세대 또한 작년 3524억원에서 올해 7월 현재 4940억원으로 1416억원 연체액 증가를 보였다.
김상훈 의원은 “지난 문정부 때 일어났던 영끌과 빚투 여진이 아직도 지속되고 있다”며 “막대한 부채는 국민경제 성장 잠재력을 짓누르는 큰 부담이 된다”고 말했다.
[ⓒ 뉴스밸런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