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美 공화당, 문서기록관리청에 “바이든, 부통령 당시 가명 이메일 공개” 요구

김성호 기자

ksh@newsbalance.co.kr | 2023-08-18 15:20:10

  ▲미국 하원의 ‘정부 감시 및 정부 개혁 위원회’ 제임스 코머 위원장. /트위터 캡처[뉴스밸런스 = 김성호 기자]조 바이든 대통령 일가의 해외 뇌물수수 사건을 조사중인 미국 하원의 ‘정부 감시 및 정부 개혁 위원회’의 제임스 코머 위원장(공화)는 17일(현지 시간) 국립문서기록관리청(NARA)에 서한을 보내 바이든 대통령이 부통령으로 있을 당시 아들 헌터의 우크라이나 사업과 관련, ‘로버트 피터스’ ‘로빈 왜어’ 등의 가명을 사용한 이메일 등 기록을 공개하라고 요구했다.


‘폭스 뉴스’ 등에 따르면 코머 위원장은 이와 함께 바이든 부통령이 2015년 12월 우크라이나 최고 평의회에서 한 모든 연설 원고와 헌터와 그의 동업자들 사이에 주고받은 문서와 통신 기록 등을 삭제나 편집 없이 공개하라고 요구했다.

당시 바이든 부통령은 대외정책 부문에서 우크라이나 정책을 관장하고 있었다. 2015년에 바이든은 만약 우크라이나 최대의 가스회사인 버리스마에 대한 수사 책임자였던 빅터 쇼킨 검사를 파면하지 않으면 우크라이나에 대한 원조를 중단하겠다고 당시 우크라이나 대통령에게 협박을 했었다. 버리스마는 직후 헌터와 동업자 등 2명을 이사로 임용, 2년 여 동안 매월 83,000달러 씩을 지급했다.

코머 위원장은 서한에서 “이러한 부통령의 기록은 위원회가 특별히 필요하다”며 “위원회는 부통령들과 대통령들의 가족들과 관련된 윤리법과 재정 공개에 연관된 현재의 법체계의 결함들을 고치기 위한 법적 해결을 추진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 결함들은 미국의 국가안보와 이해가 위험에 빠트릴 수 있다”고 말했다.

코머 위원장은 언론 보도자료에서 “바이든 대통령은 자신 가족의 해외 사업과 자신의 임무 사이에는 ‘절대적인 장벽’이 있었다고 말해 연관성을 부인했다. 그러나 그가 사업에 개입했다는 사실은 증거가 입증한다”고 밝혔다.

그는 “우리는 이미 당시 바이든 부통령이 아들의 해외 사업 관계자들과 대화, 식사, 커피 마시기 등을 했다는 증거를 갖고 있다”며 “국가문서기록관리청은 바이든 가족의 부패에 대한 위원회의 조사가 진전될 수 있도록 전혀 삭제, 편집되지 않은 기록 등을 제공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 뉴스밸런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