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내식당 메뉴에 수산물 눌리고는 싶지만…급식업체 “식단 결정권은 고객사에 있어요”

급식업체 관계자 “정부에 협력은 하겠지만 실효성은 ‘글쎄’”
“정부‧여당이 급식업체 동원한 보여주기식 행사” 비판도

최혜진 기자

chj@newsbalance.co.kr | 2023-09-01 17:28:33

뉴스밸런스는 우리 사회에서 첨예한 갈등을 빚고 있는 이슈 및 정책을 대상으로 찬성론과 반대론이 한판 승부를 벌이는 논쟁터입니다. 양측 주장과 의견을 최대한 공정하고 충실히 전달함으로써 독자들의 정확한 판단과 이해를 도울 수 있을 것입니다.

 

이번 주제는 ‘수산물 소비 활성화를 위한 수협‧급식업체 간 상생협력 협약’을 둘러싼 논란입니다. 정부‧여당, 수산업계와 급식업체 간 구내식당 수산물 식단 확대 협약을 둘러싼 실효성 논란을 취재했습니다. <편집자주>

 

  ▲참고 사진 = 온라인 커뮤니티 캡처

 

[뉴스밸런스 = 최혜진 기자] 정부‧여당이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에 따른 국내 수산물 소비 위축을 해소하기 위해 급식업체에까지 손을 내밀었다.


아워홈, 신세계푸드, CJ프레시웨이, 삼성웰스토리, 풀무원푸드앤컬처 등 국내 주요 대기업 소속 급식업체 5곳은 지난달 30일 국회에서 수협중앙회와 국내 수산물 소비 활성화를 위한 상생협력 협약을 맺었다. 이날 협약식은 국민의힘 '우리바다 지키기 검증 태스크포스(TF)'이 마련한 행사였다.

HD현대 계열사 사내 식당 급식을 맡고 있는 현대그린푸드는 지난달 22일 먼저 동참 의사를 밝혀, 총 6개 대형 급식업체가 수산물 급식 제공 확대를 야속한 셈이다.

하지만 급식업계 일각에서는 “정부‧여당의 요청에 협력은 하겠지만 실효성이 있겠느냐”, “보여주기식 행사에 불과하다”는 등의 지적이 나온다. 사내 식당의 식단을 급식업체가 자의적으로 정하는 것이 아니라 고객사의 요청이나 고객(직원)의 만족도에 따라 정해진다는 이유에서다.

기업체 구내식당 위탁업체를 운영하고 있는 이모(56)씨는 “아무리 대기업 소속 급식업체라고 하더라도 고객사에 수산물 식자재 사용을 늘리자고 제안은 할 수 있겠지만 고객사와 임직원이 받아들이지 않을 경우 어쩔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MBC 보도에 따르면 한 급식업체 관계자도 “고객사가 먼저 나서서 수산물을 확대하겠다고 하면 급식 기업이 거기에 발맞춰서 수산물 확산을 할 수는 있겠지만 급식 기업이 먼저 나서서 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니다”고 귀띔했다.

급식업계에 따르면 실제로 구내식당 메뉴는 급식업체 단독으로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고객사 협의를 거쳐야 한다. 고객사 직원 만족도가 중요하고 고객사 역시 내부 임직원 만족도가 가장 중요하다. 급식을 통한 수산물 소비 촉진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사내 식당을 운영하고 있는 기업체와 소속 임직원들의 동참이 중요하다는 지적이다.

일각에서는 이번 협약에 대해 “정부‧여당이 급식업체를 동원해 보여주기식 이벤트를 했다”머 곱지 않은 시선을 보낸다,

회사원 최모(48)씨는 “국민 불안은 아랑곳하지 않고 급식업체를 소집해 수산물을 소비하라고 사실상 강요한 것이 아니냐”고 주장했다. 대학생 김모(25)씨는 “당장 수산물 소비 확대를 압박하고 재촉하기에 앞서 국민들의 우리 수산물의 안전성을 믿을 수 있도록 꾸준히, 투명하게 정보를 제공하는 노력이 더 필요할 것 같다”고 말했다.

한편, 각종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도 이번 협약에 대해 쓴소리들이 쏟아졌다.

한 누리꾼은 “수산물 단가가 높아서 단체급식에 넣기 쉽지 않을텐데 보조금이라도 주려나? 단체급식에 나오는 해산물은 싱싱한 활어가 아니라 대부분 수입 냉동 해산물인데 생각이 있는 건지 없는 건지 모르겠다”고 꼬집었다.

[ⓒ 뉴스밸런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