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벽동행 자율주행버스, 6개월만에 이용자 1만명…총 10개 노선으로 확대 계획
뉴스밸런스는 우리 사회에서 첨예한 갈등을 빚고 있거나 화제가 되는 이슈 및 정책을 대상으로 찬성론과 반대론이 한판 승부를 벌이는 논쟁터입니다. 양측 주장과 의견을 최대한 공정하고 충실히 전달함으로써 독자들의 정확한 판단과 이해를 도울 수 있을 것입니다. 이번 주제는 “서울시 vs 서울교통공사 노조…지하철 첫차 ‘30분 앞당기기’ 놓고 갈등”입니다. 서울지하철 1~8호선 첫차 운행 시간을 30분 앞당기려는 서울시의 배경과 이에 대한 서울교통공사 노조 측의 반대 입장을 정리했습니다. <편집자 주> |
![]() |
▲서울시청 전경. /서울시 홈페이지 |
25일 서울시에 따르면 ‘새벽동행 자율주행버스(A160)’가 운행 6개월 만에 누적 이용객 1만명을 실어 나른 것으로 나타났다. A160번은 서울시가 지난해 11월, 환경미화원.경비원 등 새벽 근로자의 출근길을 위해 투입한 새벽 운행 자율주행버스다.
A160번 버스는 첫차가 평일 새벽 3시 30분 도봉산광역환승센터를 출발해 쌍문역~미아사거리~종로~공덕역~여의도환승센터~영등포역까지, 25.7km 구간에서 운행되고 있다.
시는 이른 새벽 이동이 필요한 시민의 교통편의를 확대하고 새벽시간대 운행기사 등 인력수급 문제로 버스 증차가 어려운 여건 등을 고려해 새벽 혼잡노선에 자율주행버스를 지속 확대할 예정이다. 올 하반기 중 3개 노선을 비롯하여 총 10개 노선까지 늘릴 계획이다.
하반기에는 ▲상계~고속터미널(148번 단축) ▲금천(가산)~서울역(504번 단축) ▲은평~양재역(741번 단축), 3개 노선에 새벽동행 자율주행버스가 투입된다.
아울러 서울시는 새벽동행버스가 운행되지 않는 지역을 보다 촘촘하게메워 새벽 근로자의 교통편의를 높여주기 위해 서울 지하철 1~8호선 첫차 시간을 현재보다 30분 앞당긴 5시부터 운행한다고 밝혔다. 운행시간 조정은 이르면 오는 8월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시내버스 첫차가 4시 전후로 출발, 지금까지는 이른 새벽 시간대에는 버스만을 이용해 이동해야 했으나 지하철 첫차가 앞당겨지면 버스~지하철 간 환승도 보다 원활해질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안전한 지하철 운행을 위해 필수적으로 유지보수.정비에 시간이 필요한 만큼 첫차와 함께 막차 시간도 30분 앞당겨질 예정이다.
한편 시는 이번 첫차 운행 시간 조정이 ‘서울 구간’에서 운행되는 지하철에만 적용되는 만큼 앞으로 한국철도공사.공항철도 등 수도권구간에서 출발하는 지하철 첫차도 함께 앞당길 수 있도록 적극 협의할 계획이다.
한국철도공사, 공항철도 등이 운행 중인 수도권 구간 지하철 첫차 시간도 당겨지면 서울에서 직장이나 학교를 다니는 ‘서울생활권’ 경기도 주민의 이동 편의도 매우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시는 지하철 첫차 시간 조정과 함께 앞으로 심야.새벽과 같이 운행기사 수급 등이 어려운 시간대에 자율주행버스를 지속 투입, ‘24시간 중단 없는 대중교통 서비스’를 제공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여장권 서울시 교통실장은 “이번 지하철 운행시간 조정은 단순히 첫차를 앞당기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새벽에 대중교통을 타고 이동해야 하는 시민의 어려움에 공감하고 동행한다는 데 의미가 있다”며 “앞으로도 대중교통이 ‘진정한 시민의 발’로 거듭날 수 있도록 시민
삶 구석구석 살펴 나가겠다”고 말했다
[ⓒ 뉴스밸런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