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적인 기피시설이었는데…‘화장장 유치전’ 나선 포항시 주민들, 무슨 일?

김성호 기자 / 2024-05-17 05:05:52
화장장 포함 추모공원 건립 후보지 신청에 7개 마을 유치 경쟁 ‘후끈’
“210억원 파격적인 인센티브와 시의 대주민 공감 소통 노력 주효” 평가

뉴스밸런스는 우리 사회에서 첨예한 갈등을 빚고 있는 이슈 및 정책을 대상으로 찬성론과 반대론이 한판 승부를 벌이는 논쟁터입니다. 양측 주장과 의견을 최대한 공정하고 충실히 전달함으로써 독자들의 정확한 판단과 이해를 도울 수 있을 것입니다.

 

이번 주제는 화장장 건립 추진에포항 찬성’ vs 양평 반대’, 엇갈린 명암입니다. 화장장을 포함한 종합장사시설 건립을 추진 중인 양평군과 포항시의 대조적인 분위기를 취재했습니다. <편집자 주>

 

  ▲경북 포항시가 2028년 말 완공을 목표로 추진하고 있는 추모공원 예상도. /포항시 제공
[뉴스밸런스 = 김성호 기자] 쓰레기매립장과 함께 대표적인 주민 기피시설로 여겨지는 화장장이 경상북도 포항시의 파격적인 인센티브 제공으로 이를 유치하려는 마을 간 경쟁이 벌어져 눈길을 끌고 있다.


16일 포항시에 따르면 시는 현재 화장장을 포함한 추모공원 건립을 희망하는 지역에 대한 공모를 지난해 진행한 결과 총 7개 마을에서 유치를 희망했다. 시가 제시한 인센티브와 장사시설에 대한 기피 이미지를 전환하기 위한 적극적인 소통과 노력 덕분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유치전에 뛰어든 지역은 ▲구룡포읍(눌태1) ▲연일읍(우복2) ▲동해면(중산·공당) ▲장기면(죽정) ▲장기면 (창지2) ▲청하면(하대) ▲송라면(중산1) 등이다.

시가 추진하는 추모공원은 2028년 말 완공을 목표로 33만㎡ 부지에 화장시설·장례식장·봉안시설·자연장지·유택동산 등을 갖춘게 된다. ‘명품+장례+문화+공원’의 4가지 컨셉으로 구성된다는 게 시의 설명이다.

시는 추모공원 설립 진행을 위한 심포지엄 이름을 영일만에서 차용한 ‘영일의 뜰’로 정하고 혐오시설이나 기피시설이라는 이미지에서 벗어나기 위해 추모공원 내 장사시설을 20%, 공원시설을 80% 비율로 조성키로 했다. 박물관·전시관·야구장 등도 만든다.

장시시설 공간(6만5353㎡)에는 빈소 5곳과 안치실 2곳, 화장로 8기, 봉안시설 2만기, 자연장지 6만기, 유택동산 1곳이 들어선다. 화장로의 경우 주변 거주민들의 정서를 반영해 지하화 형태로 건립될 예정이다.

특히, 시는 최종 후보지로 선정된 지역에 총 210억원 규모의 인센티브를 제공할 계획인데, 추모공원 부지로 선정된 마을에는 지원기금 40억원을 주기로 했다. 또 화장시설 사용료 징수액 20%를 30년간 지급하고 주민에게 일자리도 제공할 계획이다. 이와 별도로 유치지역 해당 읍·면에는 주민지원기금 80억원과 45억원 규모 편익·숙원사업을 제공한다.

아울러 탈락한 주민까지 위로와 통합 차원에서 1차 서류심사에 통과할 경우, 주민편익 및 숙원사업으로 3억~5억원 상당의 인센티브를 제공할 예정이다.

시는 기존의 부정적인 이미지 탈피를 위해 테마별공원, 문화시설, 상징물, 전시관, 산책로 등을 만들어 시민이 방문하고 싶은 관광지로 조성할 방침이다.

시의 한 관계자는 “일회성 홍보로는 절대 장사시설에 대한 기존 기피시설 이미지를 바꿀 수 없기에 쇠를 담그는 심정으로 진행했다”며 “막연한 반대에 부딪혀 위기도 많았으나 주민들을 만나 수차례 설득하고 또 설득해 이미지 변화에 중점을 뒀다”고 밝혔다.

이강덕 시장은 “다이옥신 등 유해물질이 법정 기준치보다 훨씬 적거나 아예 나오지 않을 정도로 무색·무취·무연의 친환경시설로 조성할 방침”이라며 “시민과 유가족의 마음을 위로하는 동시에 포항시민들에게 힐링의 공간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현재 포항시는 북구 우현동(화장로 3기)과 남구 구룡포(화장로 1기) 등 총 2곳의 시립화장장을 운영하고 있다. 각각 1941년과 1978년에 지어진 시설이다. 83년과 46년째를 맞은 노후화 시설이지만, 이마저도 밀려드는 수요를 감당하지 못해 설·추석 명절 당일을 제외하고 매년 363일 가동 중이다.

[ⓒ 뉴스밸런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