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고양이 나라로 만들 작정이냐”…‘길고양이 보호 조례안’에 반대론도 만만찮네

김성호 기자 / 2023-09-10 18:11:27
“세금으로 야생 고양이 집 짓고 돌보느는 것 이해 안돼”
“제정신 아닌 캣맘이 너무 많다”는 등 격한 주장도

뉴스밸런스는 우리 사회에서 첨예한 갈등을 빚고 있는 이슈 및 정책을 대상으로 찬성론과 반대론이 한판 승부를 벌이는 논쟁터입니다. 양측 주장과 의견을 최대한 공정하고 충실히 전달함으로써 독자들의 정확한 판단과 이해를 도울 수 있을 것입니다.

 

이번 주제는 천안시의회가 야생에서 사는 고양이를 보호하기 위해 지난달 28일 입법 예고한 길고양이 보호 및 관리 조례안에 대한 찬반 논쟁입니다. <편집자 주>

 

  ▲충남 천안시의회 자유게시판에 올라와 있는 ‘길고양이 보호 조례안’ 반대 의견들. /천안시의회 홈페이지 캡처

 

[뉴스밸런스 = 김성호 기자] “길고양이와 공생하신다고요? 우리 시민은 길고양이와 공생할 수 없습니다. 반대합니다. 공생이란 서로 주고 받으며 생존하는 것입니다. 우리는 길고양이와 공생하고 싶지 않습니다. 공생하고 싶은 사람들만 공생하세요. 남에게 피해가 없도록 입양하여 공생하세요”


충남 천안시의회가 지난달 28일 시민과 길고양이의 조화로운 공존에 기여하기 위해 ‘길고양이 보호 및 관리 조례안’을 입법 예고한 소식이 알려지자 안티캣맘 층을 중심으로 비난‧반대의 목소리도 만만치 않다. 야생에서 살아가는 고양이를 세금으로 지원해야 할 이유가 없고, 많은 동물 중 고양이만 지원하는 것도 옳지 못하다는 것이다.

10일 천안시의회 자유게시판에 따르면 한 누리꾼은 “자꾸 공존을 이야기하는데 이미 공존 중인 거 아닌가요? 누가 보면 멸종위기종인 줄 알겠어요. 고양이도 새끼를 낳을 정도가 되면 알아서 자기 새끼 먹여 키웁니다. 본인들이 찾아 먹어야지 왜 천안시에서 세금으로 먹여줍니까?”라고 반문했다.

다른 누리꾼은 ''혈세로 밥 주고 길러줘서 발생하는 차량 파손, 악취, 발정기 소음은 천안시에서 메꿔 주는 거죠' '천안시 재정 자립도가 30% 내외인데 길고양이 밥 챙겨 줄 돈 있으면 재정 자립도나 높이시는 게 좋을 것 같다“고 주장했다.

“우리나라에 지자체 예산으로 자립 가능한 도시가 얼마나 되나. 모두 재정난에 허덕여서 정부 보조금 구걸하는 판국에 진짜 시민을 위한 게 아니라 일부 목소리 큰 개‧고양이 단체 말만 듣나. 지방자치가 제대로 이뤄지지도 못하는 판국에 선진국형 동물복지? 부디 예산은 사람을 위해 좀 써라”, 제정신 아닌 캣맘이 너무 많다. 스스로 고양이 노예가 되고 싶어 죽겠구만. 데려다 잘 모시고 키우면 된다“는 등 격한 반대론도 나왔다.

이 밖에도 “고양이만 특정해서 보호하는 조례는 말이 안 된다” “길고양이 나라로 만들 작정이냐” "길고양이는 도시 최고 포식자 중 하나다. 법으로 공식화하려는 의도가 뭐냐" "급식소를 설치하면 인근 주민이 피해를 받는다는 데 주민들의 피해는 '모르쇠'하고 공존만을 내세우고 있다" "예산과 인력을 더 가치 있는데 쓰는 것이 좋지 않냐" “이미 개체 수가 포화 상태인 야생동물에게 왜 세금으로 집을 지어줘야 하고, 왜 집을 지어줘야만 공존이라는 것인지 정말 이해가 안 된다” “고양이 때문에 피해를 보는 공원 이용자들이나 인근 거주자들에 대한 대책은 세우고 조례안을 발의한 것이냐”는 등의 반대 의견도 있다.

[ⓒ 뉴스밸런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