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권 “부당한 조치에 강력한 대응…제2의 죽창가, 국익에 도움 안돼”
▲사진 = 라인 서비스 홈페이지 캡처 |
이번 주제는 “일본발 ‘라인 사태’…한국 정치권 강타하다”입니다.
최근 일본 정부의 행정지도로 촉발된 ‘라인 사태’의 후폭풍이 국내 정치권을 뒤흔들고 있습니다.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야권은 “대일 굴종 외교 결과물”, “바다 건너 불구경”, “대한민국 사이버 영토 라인 침탈” 등과 같은 ‘반일 프레임’을 내세우며 우리 정부의 대응에 연일 고강도 비판을 쏟아내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대통령실과 국민의힘 등 여권은 “일각의 반일을 조장하는 정치 프레임이 국익을 훼손하고, 우리 기업을 보호하고 이해관계를 반영하는 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면서 “국익 수호를 위해 필요한 것은 ‘초당적 협력’”이라며 “라인 사태가 제2의 죽창가가 돼선 안 된다”고 강반박하고 있습니다.
앞서 일본 정부는 지난해 11월 네이버클라우드 서버가 제3자로부터 공격받아 라인앱 이용자 정보 등 약 51만9000건이 유출된 것을 빌미로 네이버에 라인야후 지분 매각을 압박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마쓰모토 다케아키 일본 총무상은 지난 3월 라인야후가 네이버에 지나치게 의존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지분 관계를 재검토하라는 행정지도를 내리기도 했습니다.
국내에서 일본 정부가 네이버로부터 라인야후 경영권을 뺏으려 한다는 비판 여론이 확산하자, 마쓰모토 총무상은 지난 10일 “경영권 관점에서 자본의 재검토를 요구한 것은 아니다”라고 밝혔습니다.
네이버와 일본 소프트뱅크는 라인야후 지주회사인 A홀딩스의 지분을 절반씩 보유하고 있습니다. 네이버가 지난 2011년 선보인 라인은 현재 전 세계 월간 이용자 수가 1억9600만명에 이르는 아시아 지역 대표 메신저 앱입니다.
‘라인 사태’와 관련한 국내 여야 정치권의 치열한 공방을 취재했습니다. <편집자 주>
[ⓒ 뉴스밸런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