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보존” vs “동물학대”…‘소싸움 대회 폐지 논쟁’ 재점화

김성호 기자 / 2023-10-21 06:16:28
정읍시, 내년도 소싸움 대회 예산 미편성…“완전 폐지 아니라 상황 더 봐야”
동물권단체, 정읍시 결정에 ‘환영’…“다른 지자체에도 영향 미치길 기대”
  ▲전북 정읍시에서 열린 ‘전국 민속 소싸움 대회’ 모습. /정읍시 홈페이지

 

[뉴스밸런스 = 김성호 기자] 뉴스밸런스는 우리 사회에서 첨예한 갈등을 빚고 있는 이슈 및 정책을 대상으로 찬성론과 반대론이 한판 승부를 벌이는 논쟁터입니다. 양측 주장과 의견을 최대한 공정하고 충실히 전달함으로써 독자들의 정확한 판단과 이해를 도울 수 있을 것입니다.


이번 주제는 ‘금지 vs 보즌…소싸움 대회 논란 재점화’입니다.

전북 정읍시가 최근 내년도 소싸움 대회 예산을 편성하지 않는다고 밝혔습니다. 지난 1996년부터 소싸움 대회를 열어 온 정읍시의 이같은 방침은 전국 지방자치단체 중 처음으로 대회 폐지 수순에 들어갔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이와 관련, 정읍시 측은 “올해는 ‘소 힘겨루기’로 명칭을 바꿔 다음달 9~13일 대회를 개최하되 내년도 대회 관련 예산은 편성하지 않았다”면서 “하지만 소싸움 대회 폐지를 확정한 것은 아니고 내년 상황을 봐야 한다”고 여운을 남겼습니다.

현재 국내 소싸움 대회‧축제는 정읍시 외에도 경북 청도군, 경남 진주시, 충북 보은군 등 11개 지자체에서 매년 열리고 있는데요. 소싸움 대회를 열고 있는 상당수 지자체들은 동물학대 논란에도 불구하고 “소싸움 대회는 ‘합법적인 민속놀이’”라며 “전통문화를 보존하고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필요하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사단법인 한국민속소싸움협회도 동물학대 비판을 의식한 듯 내부 논의를 거쳐 대한민속소힘겨루기협회로 단체명을 바꾸고 소싸움을 국가무형문화재로 등재하는 방안을 추진하기 위해 연구용역을 의뢰하고 관련 책자 발간까지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에 동물권행동 카라 등 동물권 단체들은 “정읍시의 진일보한 결정을 적극 환영한다. 이번 결정이 소싸움을 진행하는 타 지자체에도 영향을 미치길 기대한다”면서 전국 소싸움 대회의 폐지를 거듭 촉구했습니다.

정읍시의 내년도 소싸움 대회 예산 미편성을 계기로 재점화한 해당 지자체와 동물권단체 간 논쟁을 취재했습니다. <편집자 주>

[ⓒ 뉴스밸런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시대착오적 악습”…동물권단체, ‘소싸움 금지’ 목소리 더 커진다
정읍시, 전국 지자체 중 최초로 소싸움 대회 ‘완전 폐지’ 수순 돌입?
뉴스댓글 >

SNS